"지역마다 신청날짜가 달라 확인 필수!" 전국 시도군 35개에서 실시하는 지자체 지원금 정리

반응형

이제 코로나 관련 제한 정책에 변화가 오고, 공식적으로 격리해제되는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이에 각 지자체에서도 서둘러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는데요.

 

 

 

현재 4~5월까지 지급되는 전국 재난지원금 관련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해당하는 지역에 거주한다며 꼭 확인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서울시에서 추경안이 통과되어 다음과 같은 지원금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임산부 교통지원비, 청년 교통지원비, 소상공인 일상회복 지원금, 소상공인 고용장려금, 무급휴직 고용유지지원금

 

정확한 지급 시기 및 신청안내는 각 행정기관 및 홈페이지에서 발표됩니다. (교통지원비는 보건소 혹은 서울시 홈페이지, 소상공인 관련된 지원금은 '소상공인정책자금' 홈페이지 등에서 안내됩니다.)

 

 

또한 서울시에서는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1인당 50만 원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

 

 

"서울시 거주 청년 필독" 각 자치구별로 지급중인 취업장려금 (+접수기한 놓치면 끝!)

서울시에서 현재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장려금을 신청받고 있습니다. 1인당 50만 원씩 지급되며, 서울시 각 구별로 신청 기간 및 지급시기가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에서 본인이 해당하는지

enelviaje20.tistory.com

 

기타 서울시 각 구별로 진행 중인 지원금입니다.

- 광진구 출산지원금 최대 500만 원

- 영등포, 마포, 강서, 서초, 은평구 폐업 소상공인 50만 원

- 금천구 구민 1인당 50만 원

 

 

성남시

4월 11일부터 입영지원금 지원 대상을 확대합니다. 기존에는 현역병과 사회복무요원만 가능했다면, 현재는 입영 후 6개월 내에 현역, 보충역, 대체역, 상근예비역, 승선근무예비역 모두 대상이 됩니다.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합니다.

 

 

포천시

회복지원금으로 50~200만 원을 지급합니다. 대상은 소상공인, 특고, 프리랜서, 운수종사자, 예술인, 종교시설, 주점, 민박, 체육교습업, 보육시설, 학원, 스터디카페 등입니다. 5월부터 신청을 받으니 미리 준비해두세요.

 

 

인천시

인천에서 일을 하는 중견/중소기업 청년들에게 적금통장 개설 시 640만 원을 지원합니다. 3년간 1천만 원의 목돈 마련을 만들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횡성군

소상공인에게 100만 원을 지급합니다. 휴업, 폐업 모두 포함됩니다.

 

또한 군민에게 1인당 20만 원씩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4월 29일 전에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춘천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합니다.

 

 

홍천군

소상공인에게 100만 원을 지급합니다.

 

 

보은군

1인당 15~30만 원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금액은 논의 중이며 5월 안에 신청 및 지급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양군

1인당 20만 원씩 전 군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청년 취업지원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양군 주소를 둔 미취업 청년이라면 꼭 신청하세요.

 

 

영동군

1인당 15만 원씩 5월 안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계룡시

소상공인, 운수업종사자, 대리운전 등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4월 27일까지 신청해야 하며, 5월 6일 지급이 됩니다.

 

 

전주시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합니다. 온라인신청은 24일까지지만 현장 신청은 5월 16일까지 받고 있습니다.

 

 

김제시

1인당 10만원을 지급하며, 25일부터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남원시

1인당 10만원을 지급하며, 5월 6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영암군

1인당 20만 원을 지급하며, 5월 6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문경시

소상공인, 운수종사자, 종교시설에 최대 150만 원을 지급합니다.

 

또한 일반 시민에게도 1인당 20만 원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김해시

여행업, 방문판매 업소, 버스기사, 유치원 어린이집에 지원금이 지급되며, 실업급여를 못 받은 실직 청년에게도 50만 원씩 지급됩니다.

 

 

밀양시

1인당 10만 원을 전 시민에게 지급합니다.

 

 

양산시

1인당 5만 원씩 지급될 예정입니다.

 

 

이 밖의 지역도 계속 발표가 되고 있습니다. 본인 거주 지역이 없다면, 각 시군구 홈페이지 혹은 주민센터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니 지원금을 놓치지 않으려면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