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자동차 전문가가 무조건 암기해두라는 급발진 대처방법 5가지

반응형

잊을만하면 한 번씩 자동차 급발진 사고 뉴스가 들려온다. 아무리 오랜 경력을 가진 운전자라도 급발진 상황이 오면 패닉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누구에게든 벌어질수도 있는 상황이기에 미리 대처방법을 숙지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유튜브 채널 '차업차득'에서 자동차 전문가가 직접 알려준 급발진 대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브레이크를 온힘으로 밟는다.

급발진 등과 같은 상황이 오면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것이 브레이크를 온 힘으로 밟는 것이다. 급가속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이 딱딱하고 10% 정도밖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때 더이상 들어가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지 말고 있는 힘껏 브레이크를 꾹 밟아주어야 한다.

 

 

2. 기어를 중립으로 빠르게 바꿔준다.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재빠르게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해야 한다. 이때 정말 주의할 것은 당황해서 중립이 아닌 P의 위치로 옮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핸들이 잠겨 더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3. 주차브레이크 사용하기

요즘 차량 대부분은 변속이 전자신호로 되어있어 중립으로 두어도 계속 가속이 될 수도 있다. 이때 꼭 주차브레이크를 활용해야 한다.

 

 

 

한 번에 하면 차가 회전할 수 있어 2~3번에 나눠 주차브레이크 레버를 잡아주어야 한다. 버튼식이라면 길게 잡아준다.

 

 

4. 그래도 안되면 시동끄지

위 방식으로도 차가 멈추지 않는다면 시동을 꺼야 한다. 키로 시동을 거는 차량이라면 ACC 위치까지만 돌려 엔진을 정지시킨다.

 

 

버튼식 전원인 경우는 3초 이상 꾹 누르고 있으면 시동이 꺼진다.

 

 

5. 가속되기 전 장애물 이용하기

가속이 되기 전 주변의 비슷한 크기의 자동차에 충돌하는 것이다. 극단적인 방법이기는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내용이다.

 

 

가속이 되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오고, 주변의 위험한 장애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대신 어느 정도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을 멈출 수 있는 주변의 벽이나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다.

 

(유튜브 링크)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